후설명 기법은 사건의 결과를 먼저 제시하고 그 과정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시간을 절약하고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와 드라마 사례를 통해 후설명의 효과와 사용 시 주의점을 탐구합니다.

30 후설명이라는 수법
후설명은 사건의 결과를 먼저 보여준 뒤, 그 원인과 과정을 나중에 대사나 회상으로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시간과 자원을 절약하면서도 인물의 성격과 상황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후설명의 정의와 특징
후설명은 스토리텔링의 흐름을 간결하게 유지하면서도 인물의 내면이나 사건의 배경을 강화합니다. 사건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는 대신,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이후에 보충하는 방식을 택합니다.
예를 들어:
- 전설명: 아침부터 회사까지의 모든 과정을 묘사.
- 후설명: 회사 도착 후, 대사로 “매일 7시에 일어나 8시 15분에 도착한다”고 설명.
후설명의 사례
- 영화 “만춘”에서의 후설명 다구찌 마사의 대사를 통해 노리꼬와 사다케의 맞선이 이미 진행되었음을 짧게 설명:
- 마사: “맞선을 본 지 1주일이 지났는데 아직 대답이 없구나.”
- 영화 “생존”에서의 후설명 와타나베의 마지막 행동을 대사와 회상 장면으로 설명:
- 순경: “그는 공원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너무 행복해 보였어요.”
- 일상적인 예: 프로포즈 장면 생략 프로포즈 과정 대신 대사로 설명:
- A양: “X씨가 식사 후 갑자기 프로포즈를 했어요.”
후설명의 장점
- 시간 절약
불필요한 장면 생략으로 이야기 전개를 효율화합니다. - 감정적 집중
관객의 관심을 중요한 사건이나 인물의 감정에 집중시킵니다. - 긴장감 강화
결과를 먼저 보여주고 원인을 나중에 설명하며 긴장감을 높입니다.
후설명을 사용할 때의 주의점
- 설명답지 않게 하기
후설명은 자연스럽게 대사나 행동 속에 녹아들어야 합니다. 지나치게 설명적으로 보이면 관객의 흥미를 떨어뜨립니다. - 감정적 연결 유지
감정적으로 중요한 순간에 사용해 인물과 사건의 깊이를 전달해야 합니다. - 생략과 균형 유지
중요하지 않은 장면은 생략하고, 후설명으로 핵심 정보를 보완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사례: 후설명의 효과적 적용
- 영화 “생존”에서 순경의 대사와 회상 장면은 와타나베의 죽음을 단순히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내면과 감정을 강렬하게 전달하며 관객에게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결론
후설명은 단순한 생략이 아닌, 서사를 강화하고 감정적인 몰입을 높이는 강력한 기법입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자연스럽고 감동적인 대사와 연출로 관객의 기억과 상상력을 자극해야 합니다. 설명이 강조되기보다는, 드라마 속에서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이 후설명의 핵심입니다.
키워드:
후설명 기법, 전설명과 후설명, 스토리텔링 생략, 영화 후설명, 감정적 연결, 생존 영화 분석, 만춘 영화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