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주차 – 관계성 탐구 (동심원 모델)
[기존의 세션 개요, 목표, duration, 필요한 재료 부분 유지]
세션 구조
[체크인 및 워밍업, 이론 소개 부분 유지]
- 주요 아트 활동: “관계의 파장 그리기” (90분) a. 관계 목록 작성 (15분)
-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 목록 작성
- 각 관계의 특성, 영향력, 친밀도 등 간단히 메모
b. 동심원 구조 설계 (20분)
- 큰 종이 중앙에 자신을 표현하는 작은 원 그리기
- 중심에서 퍼져나가는 여러 개의 동심원 그리기 (4-5개 정도)
- 각 원은 관계의 친밀도나 영향력을 나타냄 (안쪽일수록 더 가깝거나 영향력이 큼)
c. 관계 요소 배치 및 연결 (40분)
- 각 관계를 대표하는 요소(이름, 상징, 아이콘 등)를 적절한 원 위에 배치
- 관계의 특성에 따라 다른 색상 사용
- 자신과의 연결선 그리기 (선의 굵기로 관계의 강도 표현)
- 관계들 사이의 연결선도 그리기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
d. 파장 효과 표현 (15분)
- 각 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물결 모양의 선으로 표현
- 강한 영향력을 가진 관계는 더 넓은 파장으로 표현
- 파장이 겹치는 부분에 특별한 표시나 설명 추가 (시너지 또는 갈등 지점)
[성찰 및 공유, 관계 개선 계획 수립, 마무리 및 다음 주 안내 부분 유지]
코치를 위한 추가 팁
- 참가자들에게 강물에 돌을 던졌을 때의 이미지를 상기시키며, 관계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이 마치 물결처럼 퍼져나감을 설명합니다.
- 동심원의 간격이 반드시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관계의 특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을 안내합니다.
- 파장이 겹치는 부분에 특별히 주목하도록 하여, 관계들 간의 상호작용과 그 영향을 탐구하도록 격려합니다.
- 시간에 따른 관계의 변화를 표현하고 싶은 참가자들을 위해, 점선 또는 다른 색상의 원을 사용하여 과거나 미래의 관계 상태를 추가로 표현할 수 있음을 제안합니다.
확장 활동 제안
- 관계의 리플 효과 탐구:
- 한 관계의 변화가 다른 관계들에 미치는 영향을 화살표나 추가 파장으로 표현하기
- 이를 통해 관계의 상호연결성과 영향력의 전파를 시각화
- 계절에 따른 관계의 변화:
- 종이를 4등분하여 각 부분에 계절별 관계의 동심원 그리기
- 계절(또는 인생의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관계의 역동성 탐구
- 이상적인 관계의 파장 그리기:
- 현재의 관계 파장과 나란히 이상적인 관계의 파장 그리기
- 두 그림을 비교하며 변화가 필요한 지점 파악 및 개선 전략 수립
- 관계의 에너지 흐름 표현:
- 파장의 색상과 강도로 관계에서 주고받는 에너지의 성질과 양 표현
- 에너지 균형이 잡힌 관계와 그렇지 않은 관계 비교 분석
[후속 활동 제안 부분 유지]
이 수정된 9주차 세션은 관계의 영향력과 연결성을 물결 파장의 이미지로 시각화함으로써, 참가자들이 자신의 관계 네트워크를 더욱 직관적이고 역동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돕습니다. 이를 통해 각 관계가 삶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들 간의 상호작용을 더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