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차 신체 지도 그리기 – 몸과 마음의 연결 탐색

신체 지도 그리기 – 몸과 마음의 연결 탐색

세션 개요

  • 주제: “감정의 신체 지도 만들기”
  • 목표:
    1. 신체적 감각과 감정의 연관성 이해하기
    2. 자신의 감정을 시각화하고 표현하기
    3. 몸과 마음의 연결에 대한 인식 증진
  • 소요 시간: 2시간

필요한 재료

  • 큰 종이 (참가자의 신체 윤곽을 그릴 수 있는 크기)
  • 다양한 색상의 물감, 크레용, 또는 색연필
  • 붓 (물감 사용 시)
  • 매직 펜
  • 명상을 위한 조용한 배경 음악
  • 요가 매트 또는 편안한 바닥 매트

세션 구조

1. 체크인 및 워밍업 (15분)

  • 참가자들을 원형으로 앉게 하고, 각자 오늘의 기분을 신체의 한 부위로 표현하여 설명하도록 합니다.
  • 간단한 바디스캔 명상으로 몸의 감각에 집중하는 연습을 합니다.

2. 이론 소개 (20분)

  • 신체화(somatization)의 개념과 중요성 설명
  • 감정과 신체 감각의 연관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 소개
  • 마음챙김과 신체 인식의 관계 논의
  • 감정 표현의 다양한 방식과 그 중요성 강조

3. 주요 활동: “감정의 신체 지도 만들기” (70분)

a. 신체 윤곽 그리기 (10분)

  • 둘씩 짝을 지어 서로의 신체 윤곽을 큰 종이에 그립니다.
  • 자신의 신체 윤곽이 그려진 종이를 작업할 공간에 배치합니다.

b. 감정 명상 (15분)

  • 편안한 자세로 눈을 감고 현재의 감정과 신체 감각에 집중하는 명상을 진행합니다.
  • 감정이 몸의 어느 부위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도록 안내합니다.

c. 신체 지도 채우기 (35분)

  • 명상 중 느낀 감정과 감각을 다양한 색과 형태를 사용해 신체 윤곽에 표현합니다.
  • 직관적으로 작업하도록 격려하고, 필요하다면 단어나 상징을 추가할 수 있음을 안내합니다.

d. 마무리 및 제목 붙이기 (10분)

  • 작품에 마지막 손질을 가하고 전체를 둘러봅니다.
  • 완성된 신체 지도에 제목을 붙입니다.

4. 성찰 및 공유 (30분)

  • 소그룹(3-4명)으로 나누어 작품 공유
  • 각자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며 다음 질문들을 탐구:
    • 어떤 부위에 가장 강한 색이나 형태가 나타났나요?
    • 특정 감정이 위치한 신체 부위가 있나요?
    • 이 지도가 당신의 현재 상태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나요?
    • 이 활동을 통해 자신의 몸과 마음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점이 있나요?
  • 그룹 전체와 주요 통찰 또는 발견 공유 (자발적 참여)

5. 마무리 및 다음 주 안내 (5분)

  • 이번 주 활동의 의미와 중요성 요약
  • 일상에서 신체 감각과 감정의 연결성을 인식하는 방법 제안
  • 다음 주 주제 소개 및 간단한 준비사항 안내

코치를 위한 추가 팁

  • 참가자들이 자신의 신체와 감정을 편안하게 탐색할 수 있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 과도한 해석을 피하고, 각자의 경험을 존중하는 태도를 유지합니다.
  • 강한 감정이 올라올 수 있음을 인지하고, 필요시 개별적인 지원을 제공할 준비를 합니다.
  • 신체화된 감정에 대한 인식이 자기 이해와 감정 조절의 첫 단계임을 강조합니다.

후속 활동 제안

  • 일주일 동안 매일 저녁 간단한 바디스캔을 실시하고, 느낀 점을 기록하는 ‘신체-감정 일기’ 작성 권장
  • 일상에서 특정 감정이 생길 때 그 감정이 몸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관찰해보기
  • 다음 세션까지 자신이 경험한 가장 강렬한 감정 세 가지를 선택하고, 각 감정이 신체에서 어떻게 경험되었는지 회상해오기

이 세션을 통해 참가자들은 자신의 감정과 신체 감각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시각적으로 탐구하고 이해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자기 인식을 높이고, 감정 조절과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되는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창의적 표현을 통해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면의 경험을 외현화하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