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비늘 (Water Scale) – 시나리오

물비늘 (Water Scale)

Scene 1. 어성포 선착장 – 오후

햇빛이 반짝이는 잔잔한 바다. 선착장 끝에 형(50대 후반)과 동생(50대 초반)이 나란히 앉아있다.


(잔잔한 바다를 보며) 야, 여기 너무 좋다. 엄마 품 같은 편안함, 그런 느낌이 들지 않니?

동생은 말없이 먼 바다만 응시한다. 물비늘이 반짝이고, 바람이 잔잔하게 춤을 춘다.

Scene 2. 고속도로 – 저녁

차 안. 동생이 운전하고, 형이 조수석에 앉아있다. 무거운 침묵이 흐른다.


(조심스럽게) 참 오랫만에 어성포에 왔다 가는 거지.

동생은 여전히 묵묵히 운전만 한다. 차창 밖으로 지는 해가 보인다.

Scene 3. 형의 집 거실 – 어느 날 저녁

형이 아내와 TV를 보고 있다. 갑자기 전화벨이 울린다.


여보, 전화 왔네.

아내
응, 동생이네.

형이 황급히 전화를 받으려다 핸드폰을 떨어뜨린다. 콘크리트 바닥에 떨어진 핸드폰 화면이 금이 간다.


(전화를 받으며) 오랫만이다… 그래, 큰일이구나. 네가 고생이 많다. 그래, 또 연락 주렴.

아내
무슨 일이에요?


어머님이 쓰러지셔서 고대병원 응급실에 계신다는데, 면회는 할 수 없대. 차도가 있으면 연락 준다고…

Scene 4. 회상 – 60+ 글쓰기 교실

형이 책상에 앉아 노트를 펼쳐놓고 있다.

형 (내레이션)
지난번 갔던 그 바닷가 선착장은 동생이 방학 때면 내려와 어머니와 함께한 추억의 장소였던 걸 어머니 장례식장에서야 알았다. 나는 동생과 살아가는 이야기를 몇 번이나 나누었을까?

Scene 5. 형의 서재 – 밤

형이 책상에 앉아 글을 쓰고 있다. 창밖으로 달빛이 스며든다.

어린 형의 목소리 (O.S.)
어서 써! 나도 자유로워지고 싶거든.

형 (내레이션)
언제나 빛나는 청춘 글쓰기 시간은 내 안의 어린 나를 만나는 시간이다. 그의 아픔을 보듬고, 살갑게 그의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그것이 내가 네게로 이르는 길이라는 걸 새삼 알게 되는 시간이다.

창밖으로 보이는 달빛이 마치 물비늘처럼 반짝인다.

[Fade Out]